..

Search

16) 딕셔너리 타입

딕셔너리 타입


딕셔너리(dictionary)

리스트와 튜플 등에서는 정수인 인덱스(index)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각 요소에 접근할 수 있었다면, 딕셔너리는 단어 그대로의 '사전'과 같이 별도로 정의한 키(key)를 통해 각 요소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데이터 타입입니다.

 

사전에서 단어를 가지고 그 단어의 설명을 찾을 수 있듯이, 딕셔너리에서는 키(key)를 가지고 그 키에 해당하는 값(value)을 찾을 수 있는 것입니다.

 

dict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파이썬의 딕셔너리와 같이 키(key)와 값(value)으로 구성된 데이터 타입을 맵(map)이라고 부릅니다.

ex) JAVA : Map 컬렉션 클래스, C++ : Map 컨테이너 등


딕셔너리 선언하기

딕셔너리는 중괄호({})로 감싸서 선언하며, 딕셔너리의 각 요소(element)들은 쉼표(,)를 사용하여 구분합니다.

이러한 딕셔너리의 요소는 또다시 키(key)와 값(value)의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이 둘은 콜론(:)으로 연결됩니다.

문법

딕셔너리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요소 = 키(key): 값(value)

 

예제

dict1 = {'하나': 1, '둘': 'two', '파이': 3.14}

dict2 = dict({'하나': 1, '둘': 'two', '파이': 3.14})

dict3 = dict([('하나', 1), ('둘', 'two'), ('파이', 3.14)])

dict4 = dict(하나=1,='two', 파이=3.14)  

 

print(dict1)

print(dict2)

print(dict3)

print(dict4)

코딩연습 ▶

실행 결과

{'하나': 1, '둘': 'two', '파이': 3.14}
{'하나': 1, '둘': 'two', '파이': 3.14}
{'하나': 1, '둘': 'two', '파이': 3.14}
{'하나': 1, '둘': 'two', '파이': 3.14}

 

위의 예제처럼 파이썬 내장 함수인 dict() 함수를 사용해도 딕셔너리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 단, 4번 라인처럼 dict() 함수의 인수에 대입 연산자(=)를 바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키(key)가 문자열이어야만 합니다.

 

딕셔너리의 키(key)는 정수뿐만 아니라 문자열이나 실수 등도 사용할 수 있지만, 리스트나 딕셔너리와 같이 변경할 수 있는 타입(mutable types)의 값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예제

dict1 = {'하나': 1, 2: 'two', 3.14: 'pi'}

dict2 = {('ten', 10): ['열', 10.0]}  

 

print(dict1)

print(dict2)  

코딩연습 ▶

실행 결과

{'하나': 1, 2: 'two', 3.14: 'pi'}
{('ten', 10): ['열', 10.0]}

 

위 예제의 2번 라인처럼 튜플은 그 값을 변경할 수 없는 타입(immutable types)이므로, 딕셔너리의 키(key)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딕셔너리 사용하기

딕셔너리는 대괄호([])를 사용하여 키(key)를 전달함으로써 해당 키로 저장된 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딕셔너리의 내장 함수인 get() 함수를 사용해도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두 방식 간의 차이점은 존재하지 않는 키(key)에 대해 대괄호를 사용하는 방식은 KeyError를 발생시키며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시키지만, get() 함수는 정상적으로 종료되며 None을 반환하는 것뿐입니다.

예제

dict1 = dict({'자바': 80, 'PHP': 90, 'HTML': 70})  

 

print(dict1['자바'])

print(dict1.get('자바'))  

 

# print(dict1['파이썬'])

print(dict1.get('파이썬'))

코딩연습 ▶

실행 결과

80
80
None

 

None이란 ‘값이 없음’을 나타내는 파이썬의 예약 상수입니다.


딕셔너리에 요소 추가하거나 제거하기

딕셔너리에 요소를 추가하려면 대괄호([]) 안에 키(key)를 넣고 대입 연산자(=)를 사용하여 값(value)을 저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파이썬’: 100}이라는 요소를 딕셔너리 dict1에 추가하려면, 다음과 같이 추가할 수 있습니다.

예제

dict1[‘파이썬’] = 100

 

또한 del 키워드를 사용하여 딕셔너리에 포함된 특정 요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딕셔너리의 clear() 함수를 사용하면 딕셔너리에 저장된 모든 요소들을 한 번에 삭제할 수 있습니다.

예제

dict1 = dict({'자바': 80, 'PHP': 90, 'HTML': 70})  

dict1['파이썬'] = 100

print(dict1)  

 

del dict1['PHP']

print(dict1)  

 

dict1['자바'] = 100

print(dict1)  

 

dict1.clear()

print(dict1)

코딩연습 ▶

실행 결과

{'자바': 80, 'PHP': 90, 'HTML': 70, '파이썬': 100}
{'자바': 80, 'HTML': 70, '파이썬': 100}
{'자바': 100, 'HTML': 70, '파이썬': 100}
{}

 

위 예제의 6번 라인처럼 del 키워드는 함수가 아니므로 소괄호(())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9번 라인처럼 이미 저장되어 있는 키(key)와 동일한 키를 사용하여 요소를 추가하면, 이전에 저장된 값은 지워지고 나중에 추가한 값만이 저장됩니다.

10번 라인의 출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자바’라는 키(key)로 저장된 80이라는 값이 9번 라인에 의해 100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딕셔너리에 저장된 값을 변경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딕셔너리의 정보 얻기

딕셔너리의 keys() 함수를 사용하면 딕셔너리에 저장된 모든 요소의 키(key)들을 한 번에 얻을 수 있으며, values() 함수를 사용하면 딕셔너리에 저장된 모든 요소들의 값(value)들을 따로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딕셔너리의 items() 함수는 딕셔너리에 저장된 모든 요소들을 각각 키와 값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 튜플의 형태로 반환합니다.

 

keys()와 values(), items() 함수의 반환값은 각각 dict_keys와 dict_values, dict_items 객체로서, 이 객체들은 list() 함수를 사용하여 리스트 타입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굳이 리스트로 변환하지 않더라도 반복문 등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제

dict1 = dict({'자바': 80, 'PHP': 90, 'HTML': 70})  

 

print(dict1.keys())

print(dict1.values())

print(dict1.items())  

 

print('HTML' in dict1)

print('파이썬' in dict1)

코딩연습 ▶

실행 결과

dict_keys(['자바', 'PHP', 'HTML'])
dict_values([80, 90, 70])
dict_items([('자바', 80), ('PHP', 90), ('HTML', 70)])
True
False

 

위 예제의 7번과 8번 라인처럼 in 키워드를 사용하여 해당 딕셔너리에 특정 키(key)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이썬 2.X 버전까지는 keys()와 values(), items() 함수의 반환값이 모두 리스트 타입이었습니다.

하지만 리스트 타입으로 이들 함수의 결과를 반환하기 위해서는 메모리의 낭비가 많이 발생하였기에, 이를 줄이고자 파이썬 3.0 버전부터는 각각 dict_keys와 dict_values, dict_items 객체로 결과값을 반환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연습문제